[교육심리학] 지적장애 Intellectual disability

지적장애 Intellectual disability 지적장애아는 중요한 자극 특성을 변별할 수 있는 선택적 주의집중에 어려움이 있고 주의집중 지속시간이 짧다. 또래보다 기억력이 떨어지지만 특히 단기 기억에 문제가 있다. 또 새로운 일이나 문제 상황에 지식이나 기술을 적용하는 전이나 일반화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언어 발달이 늦어지거나 한정된 어휘를 쓰기도 한다. 주위의 성인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고, 낯선 과제를 할 때 낮은 목표를 설정하는 경향이 있다.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고 통제하는 능력이 부족하다. 학교가 특수학생을 위한 완전통합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한 일반학급 교사들이 중도나 중등도의 지적장애 학생과 연결되는 일은 드물다. 하지만 경도의 지적장애 학생은 가르칠 수도 있다. 초등학교 시기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학습 목표는 기초 단계 읽기, 글쓰기, 산수, 지역 환경에 대한 학습, 사회적 행동과 개인적 흥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고등학교에서는 직업과 가사 기술이나 생활에 필요한 읽기·쓰기 능력, 예절과 시간 준수 같은 직업과 관련된 행동, 그리고 건강을 스스로 돌보는 방법 등에 중점을 둔다. 오늘날에는 지적장애아가 지역사회에서 생활하고 일할 것을 준비하는 전환 프로그램(transition programming)이 강조되고 있다. 지적장애아를 지도하기 위해서 교사는 다음과 같이 해야 한다. 학습 전략을 가르쳐야 한다. 지적장애아는 학습전략이나 문제해결전략을 배우는 것이 가능하다. 수업을 명확하게 정의된 단계로 나누어야 한다. 각 단계에 대한 지침과 교사의 지원은 지적장애아들이 그들이 사용한 전략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아동이 자기 조절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지적장애아에게 자신의 수행을 관리하고 필요에 따라 수정할 수 있는 자기규제력을 가르쳐야 한다. 수업은 실제적이고 일상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수 있어야 한다. 자존감(self-esteem)을 갖도록 도와야 한다. 교사는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고 작은 성취에도 칭찬과 인정을 해야 한다. 또 낮은 자아 존중감을 높이도록 도와 자신이 유능하다고 느끼도록 해야 한다. 『교육심리학』 학지사, 2판, p.156-158 발췌 신명희, 강소영, 김은경, 김종민, 노원경, 박성웅, 서은희·원영실·황은영 공저 지적장애인은 중요한 자극특성을 변별할 수 있는 선택적 주의집중에 어려움이 있고 주의집중 지속시간이 짧다. 또래보다 기억력이 떨어지지만 특히 단기 기억에 문제가 있다. 또 새로운 일이나 문제 상황에 지식이나 기술을 적용하는 전이나 일반화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언어 발달이 늦어지거나 한정된 어휘를 쓰기도 한다. 주위의 성인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고, 낯선 과제를 할 때 낮은 목표를 설정하는 경향이 있다.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고 통제하는 능력이 부족하다. 학교가 특수학생을 위한 완전통합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한 일반학급 교사들이 중도나 중등도의 지적장애 학생과 연결되는 일은 드물다. 하지만 경도의 지적장애 학생은 가르칠 수도 있다. 초등학교 시기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학습 목표는 기초 단계 읽기, 글쓰기, 산수, 지역 환경에 대한 학습, 사회적 행동과 개인적 흥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고등학교에서는 직업과 가사 기술이나 생활에 필요한 읽기·쓰기 능력, 예절과 시간 준수 같은 직업과 관련된 행동, 그리고 건강을 스스로 돌보는 방법 등에 중점을 둔다. 오늘날에는 지적장애아가 지역사회에서 생활하고 일할 것을 준비하는 전환 프로그램(transition programming)이 강조되고 있다. 지적장애아를 지도하기 위해서 교사는 다음과 같이 해야 한다. 학습 전략을 가르쳐야 한다. 지적장애아는 학습전략이나 문제해결전략을 배우는 것이 가능하다. 수업을 명확하게 정의된 단계로 나누어야 한다. 각 단계에 대한 지침과 교사의 지원은 지적장애아들이 그들이 사용한 전략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아동이 자기 조절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지적장애아에게 자신의 수행을 관리하고 필요에 따라 수정할 수 있는 자기규제력을 가르쳐야 한다. 수업은 실제적이고 일상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수 있어야 한다. 자존감(self-esteem)을 갖도록 도와야 한다. 교사는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고 작은 성취에도 칭찬과 인정을 해야 한다. 또 낮은 자아 존중감을 높이도록 도와 자신이 유능하다고 느끼도록 해야 한다. 『교육심리학』 학지사, 2판, 156-158 발췌 신명희, 강소영, 김은경, 김종민, 노원경, 박성웅, 서은희 , 원영실 , 황은영 공저

꿈의지향 서재원장 독서기록 꿈의지향 서재원장 독서기록

 

error: Content is protected !!